2025/08/18 2

60대 이상 고령자들의 '스마트폰으로 공과금 납부하기'

공과금은 생활에서 빠질 수 없는 부분이다. 전기, 수도, 가스, 인터넷, 휴대전화 요금까지 매달 내야 하는데, 고령자분들은 여전히 종이 고지서를 기다리거나 은행 창구에서 직접 확인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요즘은 점점 종이 고지서 발송이 줄어들고, 문자 고지서나 앱 고지서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다. 문제는 스마트폰으로 납부 내역을 확인하는 방법을 잘 몰라, “내가 요금을 제때 냈는지”, “중복 납부한 건 아닌지” 불안해하는 어르신이 늘고 있다는 점이다.사실 스마트폰만 잘 활용하면, 공과금 납부 내역을 집에서도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전기요금은 한전 앱에서, 가스·수도는 각 지역 지자체나 전용 앱에서, 통신요금은 통신사 앱에서 바로 조회가 가능하다. 은행 앱에서도 자동이체 내역을 확인할 수 있고, 문자가 ..

60대 이상 고령자의 스마트폰 기본 화면 단순화 설정법

스마트폰은 젊은 세대에게는 ‘정보와 소통의 도구’지만, 고령자들에게는 때때로 ‘복잡하고 어려운 기계’로 느껴진다. 특히 홈 화면에 수십 개의 앱 아이콘이 늘어서 있으면, 어떤 게 전화인지, 어떤 게 카카오톡인지 구별하기조차 어렵다. 더구나 잘못 눌러 게임 앱이나 금융 앱이 열리면 당황하고, 자녀에게 “이상한 게 열렸다”며 전화를 하기도 한다. 결국 스마트폰은 있어도 불편한 도구로 전락하고 만다.이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은 화면 단순화다. 홈 화면을 꼭 필요한 기능 몇 개로만 구성하면, 스마트폰은 복잡한 기계가 아니라 큰 글씨 전화기처럼 직관적인 도구로 변신한다. 전화·문자·카카오톡·카메라 같은 기본 기능만 남기고 나머지는 숨기면, 어르신은 “스마트폰이 쓰기 편해졌다”는 자신감을 얻게 된다. 이번 글에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