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은 어르신들의 일상 속에서 필수품이 되었다.
전화와 문자뿐 아니라 사진 보기, 손주 영상 보기, 카카오톡 대화까지다양한 기능이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어준다.
하지만 스마트폰이 너무 정밀하고, 기능이 많다 보니 어르신이 실수로 잘못 누르거나 중요한 설정을 꺼버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특히 작고 복잡한 아이콘, 민감한 터치 반응, 한 번 누르면 되돌리기 어려운 설정 때문에 60대 이상 어르신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이 오히려 불안과 스트레스를 유발할 때도 있다.
예를 들어 소리가 꺼져 전화를 못 받거나, 앱을 삭제해서 연락처가 사라지는 등의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고령자가 스마트폰에서 자주 실수하는 10가지 기능을 소개하고, 그에 대한 예방 방법과 자녀가 미리 해줄 수 있는 설정 팁을 함께 정리했다. 이 내용을 참고하면 어르신도 더욱 편안하게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고, 가족 모두가 더 마음 놓고 지낼 수 있게 될 것이다.
1~5번: 소리, 화면, 앱 관련 실수와 예방 팁
1. 벨소리·알람·음량을 무음으로 꺼버림
어르신이 실수로 ‘무음’ 모드를 켜두고 벨소리를 못 듣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또는 볼륨 버튼을 눌러 모든 소리를 ‘0’으로 줄여버리는 경우도 많다.
예방 팁:
- 설정 > 소리 > ‘진동 시 벨소리 끄기’ 옵션 해제
- ‘무음 전환 방지 앱’ 설치 또는 Good Lock 앱 활용
- 음량은 항상 중간 이상으로 설정해두고 잠금
2. 화면 밝기 너무 어둡게 조절해 안 보임
밝기 조절 바를 잘못 내리면 화면이 꺼진 것처럼 어둡게 보이는 상황이 생긴다.
어르신은 이걸 ‘고장’으로 착각하기도 한다.
예방 팁:
- 자동 밝기 OFF → 수동으로 중간 이상 밝기로 설정
- ‘설정 > 디스플레이 > 고대비 테마’로 전환하여 가독성 향상
- 화면 꺼짐 시간도 1분 이상으로 설정
3. 앱을 삭제하거나, 홈 화면에서 아이콘을 없애버림
앱을 꾹 눌렀다가 실수로 ‘삭제’ 버튼을 눌러버리는 경우가 많다.
“카카오톡이 사라졌어요”, “사진 보는 버튼이 없어졌어요”라는 문의가 흔하다.
예방 팁:
- 설정 > 자녀가 ‘삭제 방지 설정’ 적용 (키즈락 앱 또는 홈화면 잠금)
- 홈 화면 정리 후 절대 손대지 않도록 고정
- ‘앱 숨기기’ 기능 활용해 자주 쓰는 앱만 남기기
4. 자동 회전 켜서 화면이 계속 돌아감
스마트폰을 기울일 때마다 화면 방향이 자동으로 바뀌어 불편해진다.
예방 팁:
- 설정 > 디스플레이 > 자동 회전 OFF
- 또는 알림창 빠른 설정 바에서 ‘자동 회전’ 비활성화
- 자녀가 가로 모드 필요한 앱만 실행되게 설정
5. 화면 확대해서 전체가 안 보임
두 손가락을 벌려 확대했는데 화면이 확대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조작이 어렵게 된다.
예방 팁:
- 설정 > 접근성 > 화면 확대 기능 OFF
- 또는 트리플 터치 확대 설정 해제
- 자녀가 글자 크기만 크게 설정해 확대 조작 필요 없게 하기
6~10번: 통화, 인터넷, 문자 관련 실수와 해결 방법
6. 전화를 받기 어렵거나, 실수로 끊어버림
통화 수신 화면에서 전화 받기 버튼을 헷갈리거나, 손 떼는 타이밍이 잘못되어 전화가 끊긴다.
예방 팁:
- ‘자동 수신 기능’ 설정 (설정 > 접근성 > 자동 응답)
- 수신 화면을 고대비 모드로 전환
- 자주 받는 연락처는 ‘특별 벨소리’로 설정하여 쉽게 인지
7. 모바일 데이터 실수로 꺼서 인터넷이 안 됨
알림창을 내리다가 ‘모바일 데이터’를 OFF해버리면 유튜브, 카톡 모두 작동하지 않는다.
예방 팁:
- 설정 > 모바일 네트워크 > ‘데이터 항상 켜기’
- 빠른 설정 바에서 ‘모바일 데이터’ 아이콘 숨기기
- 와이파이 외출 시에도 자동 전환 설정
8. 문자 입력 중 오타 많고, 음성 입력 꺼져 있음
문자 쓰다가 오타가 심하거나, 음성 입력이 꺼져 불편함을 느낀다.
예방 팁:
- 삼성 키보드 설정 > 단어 자동 추천 ON
- 음성 입력 단축 아이콘 추가
- ‘문자 단축키 기능’으로 자주 쓰는 문장 등록
9. 광고 클릭으로 스팸 앱 설치
유튜브나 인터넷 중에 광고를 잘못 눌러 이상한 앱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배터리도 빨리 닳고 스마트폰이 느려진다.
예방 팁:
- ‘Play 스토어 > 인증 설정 > 지문 필요’로 변경
- 백신 앱 설치 (무료 앱도 충분함)
- 광고 차단 앱 ‘AdGuard’, ‘브라우저 광고 제한 모드’ 활용
10. 실수로 긴급 호출 기능 눌러서 112나 119에 연결됨
홈버튼을 연속 누르거나, 사이드 버튼을 꾹 눌렀다가 긴급 전화가 걸리는 경우가 있다.
예방 팁:
- 설정 > 안전 및 긴급 > ‘긴급 SOS’ 비활성화 또는 지연 설정
- 어르신이 자주 실수한다면 전용 SOS 앱으로 교체
- 대신 ‘가족에게만 위치 전송’ 기능만 남겨두기
자녀가 할 수 있는 사전 점검 체크리스트
60대 이상 성인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한 번이라도 아래 항목을 점검해두면 실수로 인한 문제 대부분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화면 밝기 | 자동 밝기 OFF / 중간 이상으로 고정 |
소리 설정 | 무음 해제 / 음량 고정 / 진동 OFF |
홈 화면 구성 | 자주 쓰는 앱만 남기고 나머지는 삭제 또는 숨기기 |
키보드 설정 | 자동 추천 / 음성 입력 ON / 단축키 등록 |
보안 설정 | 앱 삭제 제한 / 설치 제한 / 광고 차단 앱 설치 |
위치 서비스 | 실시간 위치 공유 자녀와 연결 |
자동 응답 | 전화 자동 수신 기능 설정 (5초 후 자동 연결) |
배터리 관리 | 절전 모드 OFF / 충전 안내 음성 설정 |
긴급 기능 | SOS 버튼 작동 방식 간단화 또는 비활성화 |
자녀 연락처 | 홈 화면에 바로가기 등록 (터치 한 번으로 전화 연결) |
요약 정리
60대 이상 성인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실수가 생기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사소한 실수 하나가 소리 안 들림, 앱 사라짐, 전화 수신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런 실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자녀나 보호자가 미리 설정을 점검해주고, 사용 방법을 반복적으로 안내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스마트폰은 어렵고 복잡한 기계가 아니라, 어르신의 일상을 더욱 안전하고 즐겁게 만들어주는 도구가 될 수 있다.
이번 글에 나온 실수와 예방법을 참고해서 우리 가족 모두가 더 편안하고 걱정 없는 스마트폰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함께 준비해보자.
'60대 이상 성인 스마트폰 사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60대 이상 성인들도 할 수 있는 스마트폰으로 책 읽기 (1) | 2025.07.29 |
---|---|
실버 세대를 위한 스마트폰 자격증 시험 준비 꿀팁 (0) | 2025.07.29 |
60대 이상 성인을 둔 가족의 안심을 위한 ‘위치 공유’ 설정 방법 (0) | 2025.07.28 |
60대 이상 성인들도 쉽게 배우는 스마트폰 문자 메시지 단축키 설정법 (0) | 2025.07.28 |
60대 이상 고령자를 위한 전용 스마트폰과 일반폰 차이점 비교 (0) | 2025.07.28 |